목적
본 프로젝트는 스포츠 팬들의 ‘팬심’을 활용하여 저탄소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스포츠 산업에서 탄소 배출 저감 노력이 미비한 상황에서, 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스포츠 문화를 조성한다.
- 기업에서도 탄소 라벨링을 도입하는 추세이며, 이를 스포츠 영역에서도 적용하여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
- 기존 ‘KBO’ 브랜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만의 스포츠 브랜드를 개발하여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
필요성
스포츠 산업의 탄소 배출 문제
- 경기장 운영, 교통, 음식 소비 등에서 상당한 탄소 배출이 발생.
탄소 배출량 측정 데이터 부족
- 현재 탄소 배출량과 관련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음.
- 초기에는 가정을 기반으로 진행하되, 실시간 데이터를 확보할 경우 즉시 반영 가능.
- ‘최신성’을 갖춘 모델로 지속적인 개선 가능.
주요 기능
- 음식 탄소 라벨링 시스템 구축
- 교통 경로별 탄소 배출량 안내
- 탄소 배출 최소화 유도
대상 사용자
스포츠 팬들 (특히 야구 팬들)
- 스포츠 팬들은 팀과 선수를 응원하는 강한 팬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환경 보호 활동과 연결하면 높은 참여도를 기대할 수 있음.
- 많은 사용자가 참여할수록 탄소 절감 효과가 극대화되며, 실제 변화를 이끌어낼 힘을 가질 수 있음.
음식이 어떻게 그리고 어디서 생산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같은 음식이라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삼림 벌채된 땅에서 자란 육우는 자연 목초지에서 자란 소보다 12배 더 많은 온실가스 배출을 담당합니다.
남미에서 생산되는 평균 소고기는 유럽에서 생산되는 소고기의 3배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10배에 달하는 땅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에서 나오는 배출물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시각화는 쇠고기부터 견과류까지 29가지 식품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여줍니다.
각 제품에 대해 공급망의 어느 단계에서 배출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왼쪽의 토지 이용 변화에서 오른쪽의 운송 및 포장까지 확장됩니다.
지역산 식품을 섭취하면 배출량이 약간만 줄어듭니다.
지역산 소고기나 양고기를 먹는 것은 다른 대부분의 음식보다 탄소 발자국이 몇 배 더 큽니다. 지역에서 재배했든 세계 반대편에서 운송했든 총 배출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운송은 일반적으로 쇠고기의 GHG 배출량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지역에서 먹는 것은 총 발자국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합니다. 이 수치는 거주 지역과 쇠고기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래 상자에서 왜 큰 차이가 없는지 보여주는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바로 옆집 농장에서 사든 먼 곳에서 사든, 저녁 식사의 탄소 발자국을 늘리는 것은 장소가 아니라 그것이 쇠고기라는 사실입니다.
(https://ourworldindata.org/food-choice-vs-eating-local)
https://harvard-foodprint-calculator.github.io/
Foodprint Calculator
1. Leach, Allison M., Kyle A. Emery, Jessica Gephart, Kyle F. Davis, Jan Willem Erisman, Adrian Leip, Michael L. Pace, et al. “Environmental Impact Food Labels Combining Carbon, Nitrogen, and Water Footprints.” Food Policy 61 (2016): 213–23. https://
harvard-foodprint-calculator.github.io
References
1. Leach, Allison M., Kyle A. Emery, Jessica Gephart, Kyle F. Davis, Jan Willem Erisman, Adrian Leip, Michael L. Pace, et al. “Environmental Impact Food Labels Combining Carbon, Nitrogen, and Water Footprints.” Food Policy 61 (2016): 213–23. https://doi.org/10.1016/j.foodpol.2016.03.006.
2. Rose, Donald, Martin C Heller, Amelia M Willits-Smith, and Robert J Meyer. “Carbon Footprint of Self-Selected US Diets: Nutritional, Demographic, and Behavioral Correlate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09, no. 3 (2019): 526–34. https://doi.org/10.1093/ajcn/nqy327.
3. “EAT Lancet Commission Summary.” EAT Lancet Commission, n.d. https://eatforum.org/content/uploads/2019/07/EAT-Lancet_Commission_Summary_Report.pdf.
4. Rohrer, Jürg. “What Is a Carbon Footprint - Definition of Carbon Footprint.” Time for Change. https://timeforchange.org/what-is-a-carbon-footprint-definition/.
5. Shapiro, Ari. “With An Eye Toward Lower Emissions, Clean Air Travel Gets Off The Ground.” NPR. NPR, July 29, 2019. https://www.npr.org/2019/07/29/746275123/with-an-eye-toward-lower-emissions-clean-air-travel-gets-off-the-ground.
6. “Carbon Footprint Factsheet.” Carbon Footprint Factsheet | Center for Sustainable Systems. http://css.umich.edu/factsheets/carbon-footprint-factsheet.
7. “Saving Water in the Shower and Bathtub.” Water Footprint Calculator, December 7, 2018. https://www.watercalculator.org/save-water/shower-bath/.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분석기사] 요약 정리 (0) | 2025.04.06 |
---|---|
[SK텔레콤 FLY AI Challenger 6기] 수료 후기 (0) | 2025.03.03 |
[SK텔레콤 FLY AI Challenger 6기] 지원 및 교육 (4) | 2025.01.15 |
[Notion 팀 프로젝트] 팀원과 무제한으로 사용하기 (0) | 2025.01.09 |
[2024 개정]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오답 풀이 (1) | 2024.11.12 |